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산티아고 순례길 28일차(세~피스테라)

본문

 

밤새 비바람이 몰아쳐 잠을 자면서도 신경이 쓰였다. 아침에 일어나 창문을 열고 날씨부터 확인을 했다. 여전히 비바람이 강했다. 이런 날씨에 선뜻 밖으로 나서지 못하고 머뭇거리는데 알베르게 관리인이 들어와 청소를 할테니 밖으로 나가란다. 우의를 꺼내 입고 문을 나섰으나 금방 물에 젖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하루의 시작이 그리 유쾌하진 않았다. 도심 한 가운데에선 표지석이나 화살 표식을 찾기가 어려웠다. 일단 해변으로 갔더니 거기에 표지석이 있었다. (Cee)는 아름다운 바닷가 마을이라 시간을 내서 도심과 바닷가를 둘러보려 했지만 날씨 때문에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세와 경계를 맞대고 있는 코르쿠비온(Corcubion)으로 들어섰다. 거센 파도를 피해 많은 배들이 여기서 피항을 하고 있었다. 높지 않은 고개를 하나 넘었다. 고개 위에서 멀리 피스테라 등대가 보였다. 땅끝 마을이 드디어 눈에 들어온 것이다.

 

에스토르데(Estorde)에선 잠시 길에서 벗어나 해변으로 들어가 보았다. 파도가 거세게 몰려왔다. 대서양이 몹시 화가 난 모습이었다. 사르디네이로(Sardineiro)에서 피스테라까지 7km 남았다는 이정표를 보았다. 바람이 어느 방향으로 부느냐에 따라 비를 맞는 부위가 달랐다. 해변으로 난 길에서는 얼굴로 파고드는 빗줄기 때문에 머리를 제대로 들 수가 없었다. 물에 빠진 생쥐 모습으로 피스테라에 닿았다. 땅 위에 돌로 만든 조가비 표식이 나타났고 형형색색의 집들이 눈에 들어왔다. 한 눈에 보기에도 예쁜 마을이었지만 그걸 감상할 여유가 없었다. 어디에서 비를 피하면서 몸을 말릴 수 있었으면 좋겠다 싶었다. 사람들에게 물어 알베르게를 찾아갔는데 아직 문을 열지 않았다. 오후 1 30분에 문을 연다고 한다. 항구 주변을 서성이다가 빗줄기가 너무 굵어 버스정류장에서 비를 피하며 빵과 과일로 점심을 때웠다. 내가 보기에도 좀 청승맞아 보였다.

 

피스테라는 피니스테레(Finisterre)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것은 로마어에서 나왔는데 로마인들은 이곳을 세상의 끝이라 보았다. 그들보다 먼저 여기 살았던 켈트족도 카보 피니스테레(Cabo Finisterre)에 있던 태양 신전으로 가기 위해 이 길을 걸었다고 한다. 중세 시대엔 야고보 성인의 주검이 스페인으로 돌아온 궤적을 찾아 순례자들이 여길 찾기도 했다. 그러고 보니 카미노 데 피스테라가 카미노 데 산티아고보다 더 오래된 순례길이었던 셈이다. 다시 알베르게로 갔더니 문을 열었다. 크레덴시알을 보여주고 또 한장의 순례증서를 발급받았다. 이 알베르게는 산티아고에서 걸어온 사람만 들어올 수 있어 한국인은 나 혼자였다. 마을에서 한국인을 10여 명 보았는데 모두 차량을 이용해 온 모양이었다. 침대를 정리해 놓은 후에 밖으로 나왔다. 빗줄기가 가늘어져 다행이다 싶었는데 그것마저도 얼마 있으니 그치기 시작했다.

 

바다는 여전히 칙칙했지만 다양한 색채감을 뽐내는 마을 분위기에 그나마 위안을 얻었다. 바다에 떠있는 조그만 보트들도 정겨워 보였다. 날씨만 좋았더라면 이 풍경도 괜찮았을텐데 하는 생각이 들어 좀 아쉽긴 했다. 하지만 어쩌랴. 날씨는 내 소관사항이 아니니 말이다. 마을을 벗어나 등대가 있는 땅끝으로 오르기 시작했다. 편도 2.2km의 거리라 부담이 없었다. 등에 배낭도 없으니 발걸음이 자연 가벼울 수밖에 없었다. 땅끝 마을이란 지정학적인 의미가 나에게 감동을 주었지만 등대 자체는 그다지 아름답단 생각이 들지 않았다. 0.00km라 적혀 있는 표지석과 바위에 설치해 놓은 등산화 조각, 순례를 마친 사람들이 물건을 태운다는 소각장까지 두루 살펴보았다. 순례자들이 남겨놓은 메모, 소지품들이 안테나에 주렁주렁 매달려 있었다. 티벳불교에서 사용하는 룽다도 걸어 놓았는데 그건 무슨 의미일까 싶었다.

 

먹구름이 조금씩 걷히며 바다가 꿈틀꿈틀 살아나고 있었다. 고깃배 한 척도 통통거리며 바다를 가로질러 갔다. 어디에선 구름 사이로 햇살이 삐져나오기도 했다. 해질 때까지 기다릴까 하다가 아무래도 석양을 기대하긴 어려워 그냥 마을로 돌아왔다. 알베르게엔 사람들로 제법 붐볐다. 침대가 모두 찼다. 모처럼 밥을 지어 그 위에 콩수프를 얹어 먹었다. 이번 순례길에서 즐겨 먹던 메뉴가 밥이나 파스타 위에 콩을 얹어 먹는 것이었다. 새롭게 발굴한 메뉴였는데 만들기 쉽고 영양도 괜찮았다. 설거지를 하는 중에 한 서양 노인네가 쌀을 가지고 밥을 짓고 있는 것을 보았다. 어찌 밥을 하느냐고 물었더니 쌀로 죽을 만들어 거기에 렌틸콩과 치즈를 넣어 저녁을 준비한다고 했다. 그 음식의 이름이 뭐냐 했더니 이름은 없단다. 시식해 보라고 한 접시를 나에게 건네주었다. 짭짤하면서도 고소한 것이 의외로 맛이 괜찮았다.

 

파스타 면에 콩을 얹어 간단히 만든 아침 메뉴

 

세의 도심에 있는 산타 마리아 성당은 외관을 하얗게 칠해 깔끔해 보였다.

 

 

바다가 움푹 들어온 곳에 공원을 만들어 놓았다. 세 해변을 거닐며 마주친 풍경들.

 

조그만 배들이 코르쿠비온 앞바다로 피항을 왔다.

 

 

코르쿠비온 마을의 모습. 산 마르코스(San Marcos) 성당의 뾰족한 첨탑과 십자가가 인상적이었다.

 

 

코르쿠비온에서 산 로케(San Roque)로 오르는 길목에서 되돌아본 바다 풍경

 

이 지역은 옥수수 저장고인 오레오를 대부분 돌로 만들었고 그것을 버섯 모양의 받침대가 버티고 있었다.

 

산 로케 수도원 경내를 알리는 표식. 도네이션제로 운영하는 알베르게가 하나 있다고 들었다.

 

에스토르데 마을의 해변으로 내려갔더니 파도가 거세게 밀려왔다.

 

 

해변으로 난 길을 걸어 피스테라로 접근하고 있다.

 

 

 

피스테라도 울긋불긋한 건물들이 많아 아름다운 면모를 지녔다.

 

 

피스테라의 바닷가 풍경

 

마을을 벗어나자 무너진 건물에 땅끝으로 가는 이정표를 그려 놓았다.

 

 

등대가 보이는 지점에 순례자 상이 하나 세워져 있었다.

 

땅끝에 세워진 등대가 망망대해의 대서양을 굽어 보고 있었다.

 

순례길의 끝을 알리는 표지석엔 0.00km란 거리 표시가 적혀 있었다.

 

땅끝 마을을 알리는 표지석

 

등대 아래에 설치된 안테나에는 순례를 마친 사람들의 기념픔들이 매달려 있었다.

 

 

해수면에 햇살이 비춰 석양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으나 곧 비가 다시 내렸다.

 

알베르게에서 한 노인이 만들어 맛을 보라고 나에게 건네준 렌틸치즈죽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