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산티아고 순례길 8일차(아쏘프라~빌로리아 데 리오하)

본문

 

오늘도 아침으로 인스턴트 해장국에 면을 넣어 수프를 끓였다. 대전에서 온 의사 부부를 불러 함께 식사를 했다. 너무 허접한 음식으로 아침을 대접한 것 같아 마음이 좀 찜찜했다. 두 사람은 카페에서 커피 한잔 하겠다 해서 나만 먼저 출발했다. 어둡던 하늘이 점점 밝아온다. 산티아고를 향해 정서 방향으로 걷기 때문에 늘 뒤에서 해가 돋는다. 긴 그림자 하나를 내 앞에 만들어 놓았다. 구름 한 점 없는 하늘은 청명한 가을 날씨를 보여줬고, 길가에 자라는 풀잎이나 꽃망울엔 밤새 서리가 내려 하얀 옷으로 갈아 입었다. 손이 너무 시려 처음으로 장갑을 껴야만 했다. 이렇게 맑은 날씨에 판초 우의를 걸친 한국인을 한 명 만났다. 이 산티아고 순례길을 여섯 번이나 왔다고 하는 그는 목례만 하곤 뚜벅뚜벅 길을 재촉한다.

 

두 시간을 걸어 시루에냐(Ciruena)에 도착했다. 현대식 건물로 조성된 마을엔 골프장도 있어 마치 리조트 같았다. 쉬지 않고 그냥 걸었다. 마을을 막 벗어나려는데 뭔가가 갑자기 내 발뒤꿈치를 무는 것이 아닌가. 뒤돌아 보았더니 포인터 한 마리가 등산화를 문 것이었다. 나를 향해 꼬리를 흔드는 것을 봐서는 공격 의사는 없어 보였다. 주인인 듯한 할아버지는 20여 미터 떨어져 나에게 손 한번 들어 보이곤 가만히 있었다. 머리 한번 쓰다듬어 주곤 강아지를 주인에게 보냈다. 저 멀리 산세가 눈에 들어오니 가슴이 트이는 것 같았다. 사방으로 펼쳐진 들판은 마치 파스텔을 칠해놓은 듯 했다. 추수가 끝난 벌판은 황량해 보이기도 했지만 낮게 깔린 햇살을 받아 묘한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었다.

 

산토 도밍고 데 라 칼싸다(Santo Domingo de la Calzada)가 멀리 보였다. 순례길은 자연스럽게 대성당으로 연결되었다. 빌로리아 출신의 목동였던 산토 도밍고는 수도원에 들어가고 싶었지만 퇴짜를 맞았다. 그럼에도 순례자를 돕고 순례길을 닦는데 여생을 바쳤다. 기도를 드리기 위해 잠시 일을 멈추면 천사가 내려와 일을 대신했다고 한다. 대성당에서 기르는 닭 두 마리에도 재미있는 전설이 전해진다. 하녀의 계략에 빠져 금잔을 훔친 도둑으로 누명을 쓴 독일 청년이 교수형을 당했는데 함께 순례를 떠났던 청년의 부모는 슬픔을 견디며 순례를 계속 했다. 산티아고에서 돌아오는 길에 자식이 교수대에 산 채로 매달려 있는 것을 발견하고 시장에게 말했지만 시장은 식탁 위에 올려진 구운 닭이 어찌 살아날 수 있냐며 믿지를 않았다. 그 순간 식탁에 있던 닭 두 마리가 살아나 울기 시작했고, 그 덕분에 청년도 살아났다고 한다.

 

4유로의 입장료를 내고 대성당으로 들어갔다. 순례자라고 할인을 받았다. 전시물이 많았으나 아무래도 내 관심은 11세기에 만들어진 산토 도밍고 무덤과 성당 안에서 키운다는 닭 두 마리에 쏠렸다. 아무리 전설이라 해도 성당 안에서 닭을 키운다는 발상이 재미있었다. 성당을 나와 그 옆에 있는 70m 높이의 종탑도 올랐다. 조망은 기대보다 못 했지만 사방으로 걸려 있는 종들을 살펴보는 것도 괜찮았다. 그런데 아침부터 왼쪽 발목이 좀 이상하다 싶더니 종탑을 오르내리는데 통증이 심했다. 발걸음을 내딛을 때마다 발목 앞부분이 아팠다. 예감이 좋지 않았다. 잠시 여기서 쉬고 가자고 길가 벤치에 앉았다. 사과와 바나나를 꺼내 점심으로 먹었다. 어제 마시다 남은 와인도 모두 비웠다.

 

한국인들이 많이 머문다는 그라뇬(Granon)을 그냥 지나쳤다. 성당을 들어가 보았지만 그리 인상적이진 않았다. 그라뇬에서 2km쯤 걸었을까. 라 리오하 주를 벗어나 카스티야 레온(Castilla y Leon) 자치주로 들어섰다. 이 자치주는 떵덩이가 엄청 커서 다시 수많은 작은 주로 나뉜다. 우리가 들어선 곳은 부르고스(Burgos) 주였다. 안내판 두 개가 길가에 세워져 순례자들을 맞았다. 카스티야 레온 자치주로 들어섰더니 포도밭이 시야에서 사라지고 대신 해바라기를 심은 밭이 나타났다. 다 익어 고개를 숙인 해바라기를 수확하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 더 영글기를 기다리는 것인지, 수확을 포기한 것인지 모르겠지만 먹이가 풍부해 참새들은 신이 났다.

 

레데시야(Redecilla), 카스틸델카도(Castildelcado)를 지나 빌로리아 데 리오하(Viloria de Rioja)에 닿았다. 산토 도밍고가 태어난 곳이 바로 여기다. 알베르게가 두 개 있는데 모두 도네이션 제도로 운영하고 있었다. 아카시오 오리에타(Acacio Orietta)란 이름의 알베르게에 들었다. 아카시오는 브라질 남편, 오리에타는 이태리 부인의 이름이었다. <연금술사>를 쓴 코엘료(Paulo Coelho)가 여기서 묵었다고 그와 찍은 사진을 걸어 놓았다. 코옐료의 책도 저렴하게 판매하고 있었다. 숙박비로 6유로를 받고 식사비는 도네이션이라 해서 따로 10유로를 주었다. 저녁 식사는 여섯 명이 모여 함께 했다. 수프가 먼저 나왔고 메인으론 쌀밥 위에 렌틸콩을 얹어 샐러드와 함께 먹었다. 맛도 괜찮았고 가정집 분위기가 풍겨 푸근한 느낌이 들었다.

 

8일 동안 쉬지 않고 걸은 것이 원인이었을까? 양말을 벗으니 왼쪽 발목이 퉁퉁 부어 있었다. 며칠 쉬라는 의미인지, 천천히 걸으란 의미인지 저 윗분의 뜻을 도통 모르겠다. 사실 조그만 문제가 하나 더 있었다. 첫날 길을 걷고 론세스바예스에 도착했을 때, 오른쪽 두 번째 발가락에 티눈이 난 것을 발견했다. 처음엔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는데 쉬지 않고 걸으니 거기서도 통증이 생겼다. 명색이 순례라 하면서 이 정도 통증도 없이 어찌 순례를 마칠 수 있겠나 하는 생각에 그냥 참기로 했다. 하지만 발목 부상은 티눈과는 차원이 다르다. 자칫하면 며칠 쉬어야 할지도 모르고 그러면 앞으로의 일정이 모두 꼬이기 때문이다. 좀 불길한 생각이 들었지만 일단 자고 나서 다시 상태를 보기로 했다.

 

 

아쏘프라를 빠져 나오면서 일출을 맞았다.

 

 

풀잎과 꽃망울에 서리가 내려 앉았다. 날씨도 제법 쌀쌀했다.

 

한 자전거 순례자가 아침 일찍 페달을 밟으며 앞질러 갔다. 처음엔 시카고에서 온 마가렛인 줄 알았다.

 

 

 

 

 

 

멀리 산세가 보이는 가운데 드넓은 벌판이 펼쳐졌다. 붉고 푸른 색조가 어우러져 나름 아름다웠다.

 

벌판 뒤로 저 멀리 산토 도밍고 데 라 칼싸다가 보인다.

 

 

 

 

 

산토 도밍고 성인의 무덤이 있는 대성당. 성당 안에 닭 두 마리가 사는 공간도 마련되어 있었다.

 

 

대성당에서 좀 떨어진 곳에 따로 세워져 있는 종탑에도 올라가 보았다.

 

그라뇬에서 집집마다 물병을 문 앞에 내놓은 모습을 목격했다. 처음엔 순례자에게 제공하는 식수인가 생각했지만

나중에 알고 보니 이렇게 물병을 문앞에 놓으면 고양이가 거기엔 오줌을 싸지 않는단다.

 

카스티야 레온 자치주에 속하는 부르고스 주로 들어섰음을 알리는 표지판

 

주 경계선을 넘으면서 포도밭이 시야에서 사라지고 대신 해바라기 밭이 보이기 시작했다.

 

 

부르고스 주로 들어와 처음 만난 마을인 레데시야를 지났다.

 

웬 물동량이 그리 많은지 이 시골 도로에도 화물차의 움직임이 부산했다.

 

 

파울로 코엘료가 묵었다는 알베르게. 알베르게 앞에서 코엘료와 함께 찍은 사진을 걸어 놓았다.

 

 

알베르게 여주인 오리에타가 준비한 저녁. 수프와 렌틸콩을 얹은 밥이 나왔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