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구간에 낙석 위험 지대가 있어 얼음이 녹기 전에 그곳을 통과하자고 새벽 4시에 기상해 출발을 서둘렀다. 이번에는 바룬(Barun) 강으로 내려간다. 어렵사리 올라온 고도를 또 다시 뚝 떨어뜨리는 것이다. 그런 후 강을 옆에 끼고 완만한 오르막을 따르면 된다. 내려서는 도중에 뭄북(Mumbuk) 야영장에서 대원들과 함께 잠깐 동안이나마 쓰레기 치우는 시간을 가졌다.
처음부터 설사면이 꽤 가파르다. 창피스럽게도 이 설사면에서 7번이나 넘어졌다. 엉덩방아야 바로 일어나면 되지만 한 번은 설사면 10여 m를 미끄러져 내려와 여러 사람을 긴장하게 만들었다. 카메라를 눈 속에 빠뜨리지 않기 위해 손을 높이 들고 넘어졌는데, 그 때문인지 오른발이 약간 뒤틀리면서 무릎에 순간적인 통증을 느꼈다. 좀 불편하긴 했지만 큰 부상이 아니라 천만다행이었다.
바룬 강으로 내려섰다. 이제부턴 물줄기를 거슬러 원류까지 줄곧 오르기만 하면 된다. 왼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계곡 오른쪽으론 소나무가 빼곡하고 왼쪽엔 랄리구라스가 많이 서식하고 있었다. 누구의 손길도 타지 않은 원시림으로 보였다. 푸른 이끼도 많았다. 산사태로 무너져내린 산사면 아래에는 너덜지대가 자리잡고 있었다. 몇 개의 카르카를 지났다. 카르카란 초지가 있어 야크나 양을 방목해 키우는 곳을 일컫는데, 타시가온 사람들이 봄이면 이곳으로 들어와 소와 양을 키우고 가을이 되면 마을로 돌아간다.
강을 따라오르는 길은 완만하고 순했다. 하얀 설산을 바라보며 걷다가 강을 건너면 양리 카르카(Yangle Kharka)에 닿는다. 점심을 먹기 위해 배낭을 내려 놓고 쉬는 도중에 영국에서 온 한 식물학자를 만났다. 3개월간 체류하며 히말라야의 식물종을 연구하고 있단다. 혼자서 가이드와 포터 6명을 데리고 다닌다. 당말 베이스 캠프에서 매점을 운영하고 있다는 부자도 만났다. 다와와 그의 아들 치링이었는데, 7살짜리 치링이 등짐을 지고도 제법 잘 쫓아간다.
조금 욕심을 내서 해발 4,100m의 자크 카르카(Jark Kharka)까지 하루에 끊었다. 고도를 높일수록 바룬 강의 폭이 점점 좁아진다. 펄쩍 뛰면 건널 수 있는 개천 수준으로 변했지만 흘러가는 강물이 내는 소리는 여전히 우렁찼다. 원용덕 선배의 상태가 아주 나빠졌다. 며칠 간의 고된 일정 때문인지 몸에 이상 징후를 보이며 너무 괴로워한다. 일단 내일 아침에 헬기를 불러 카트만두로 후송시키기로 합의를 보았다. 오늘 밤에 아무 일도 없어야 할텐데…
고산병에 대한 한 대장과 김덕환 선배의 진단법은 좀 다르다. 고산 원정 경험이 많은 한 대장은 일단 밥숟가락을 들지 못하면 고산병으로 본다. 아주 간단한 방법이다. 김덕환 선배는 이와는 달리 의학적으로 접근한다. 높은 곳에 오르면 평소 약했던 부위가 탈을 일으키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고, 진짜 위험한 고소 증세는 오줌을 제대로 누지 못하는 증상이란다. 이게 발전하면 폐수종이 되기 때문에 고소에서 이뇨제 처방은 보편적이다. 난 아직 매끼 밥도 잘 먹고 오줌도 잘 누는 편이니 걱정은 좀 덜었다.
마칼루 하이 베이스 캠프 <8> (0) | 2013.03.09 |
---|---|
마칼루 하이 베이스 캠프 <7> (0) | 2013.03.08 |
마칼루 하이 베이스 캠프 <5> (0) | 2013.03.06 |
마칼루 하이 베이스 캠프 <4> (0) | 2013.03.05 |
마칼루 하이 베이스 캠프 <3> (0) | 2013.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