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천리; 소걸음으로 천리를 간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우보천리; 소걸음으로 천리를 간다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338) N
    • 산에 들다 - 한국 (37)
    • 산에 들다 - 히말라야 (86)
    • 산에 들다 - 캐나다 로키 (43)
    • 산에 들다 - 밴쿠버 (110)
    • 산에 들다 - 캐나다 여타 지역 (37)
    • 산에 들다 - 미국 (32)
    • 산에 들다 - 유럽 (57)
    • 산에 들다 - 오세아니아 (26)
    • 산에 들다 - 아프리카 (6)
    • 여행을 떠나다 - 한국 (51)
    • 여행을 떠나다 - 캐나다 (222)
    • 여행을 떠나다 - 미국 (139)
    • 여행을 떠나다 - 아시아 (123) N
    • 여행을 떠나다 - 유럽 (229)
    • 여행을 떠나다 - 중남미 (13)
    • 여행을 떠나다 - 오세아니아 (56)
    • 여행을 떠나다 - 아프리카 (42)
    •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카미노 데 산티아고) (29)

검색 레이어

우보천리; 소걸음으로 천리를 간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백두대간

  • [캐나다 로키] 마운트 아시니보인 백패킹 ②

    2019.08.28 by 보리올

  • 지리산

    2016.04.30 by 보리올

  • 남덕유산

    2014.11.21 by 보리올

  • 시모어 산(Mt. Seymour)

    2014.04.23 by 보리올

  • [시장 순례 ④] 부산 자갈치시장

    2013.12.27 by 보리올

  • 태백산 시산제

    2013.12.11 by 보리올

  • 요호 밸리 백패킹 ①

    2013.11.05 by 보리올

  • 에베레스트 베이스 캠프(EBC) – 2

    2013.06.28 by 보리올

[캐나다 로키] 마운트 아시니보인 백패킹 ②

아시니보인으로 드는 트레일 기점은 크게 세 군데가 있다.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기점은 밴프 국립공원에 있는 선샤인 빌리지(Sunshine Village)다. 카나나스키스 지역에 있는 마운트 샤크 트레일 기점도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어떤 사람은 쿠트니 국립공원을 지나는 93번 하이웨이에서 산행을 시작하기도 한다. 어느 루트를 택하든 아시니보인 아래에 있는 마곡 호수(Lake Magog)에 닿는 데는 1박 2일의 시간이 필요하다. 물론 체력이 좋고 걸음이 빠른 사람은 당일에 닿을 수도 있지만 텐트와 식량을 지고 가는 백패킹에선 무리가 따른다. 마곡 호수에 닿아 하루나 이틀 주변을 둘러보려면 최소 4박 5일 내지는 5박 6일의 일정이 필요하다. 노익장을 모시고 가는 길이라 우린 무리하지 않기로 했다...

산에 들다 - 캐나다 로키 2019. 8. 28. 06:49

지리산

아들과 지리산을 다시 찾았다. 부자가 단 둘이서 백두대간을 종주하겠다고 지리산을 오른 것이 1997년이었으니 20년 만에 다시 둘이서 지리산을 찾은 것이다. 이번에는 둘이 아니라 셋이었다. 녀석이 여자친구를 데리고 왔으니 말이다. 사실대로 이야기하면 이 청춘 남녀가 이번 산행의 주인공이었고 나는 이들이 앞으로 펼칠 백두대간 종주 출정식에 초대받아 온 손님에 지나지 않았다. 참으로 기분 좋은 초대 아닌가. 산행은 중산리에서 시작했다. 칼바위와 망바위를 지날 때까진 그리 힘들지 않았다. 내가 앞으로 나서 산길에 버려진 쓰레기를 주웠다. 앞으로 이 커플이 백두대간을 걸으면서 쓰레기를 열심히 줍자고 서로 합의를 했다는 소리에 나름 감동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 취지가 고마워 나도 열심히 쓰레기를 주워 아들이 멘 ..

산에 들다 - 한국 2016. 4. 30. 08:06

남덕유산

대전에 있는 친구로부터 덕유산 가자는 전화를 받았다. 산에 가자고 불러주는 친구가 있으니 이 얼마나 행복한 일인가. 잠시도 망설이지 않고 그러자 했다. 금요일 저녁 KTX를 타고 대전으로 내려갔다. 그 친구 집에서 잠시 눈을 붙이고 새벽 3시에 일어나 남덕유산 아래에 있는 상남리로 향했다. 두 친구가 추가로 합류해 일행은 모두 네 명. 규모가 단출해서 좋았다. 산행을 시작한 시각이 새벽 5시. 하늘엔 별이 총총했고 달도 밝았다. 랜턴도 필요가 없었다. 경남 교육원을 지나 산길로 접어 들면서 랜턴을 꺼냈다. 날씨도 그리 춥지 않았고 바람도 거의 없었다. 육십령에서 올라오는 백두대간 능선으로 올랐다. 옛 친구를 만난 듯 몹시 반가웠다. 백두대간을 종주하며 이 길을 몇 번인가 지나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잠..

산에 들다 - 한국 2014. 11. 21. 09:00

시모어 산(Mt. Seymour)

아들과 둘이서 스노슈즈를 챙겨들고 시모어로 향했다. 부자가 함께 산행에 나서는 순간은 늘 즐겁고 가슴이 설렌다. 초등학교 6학년 시절에 아빠와 단둘이 백두대간을 종주한 녀석답게 평상시에도 산에 들기를 아주 좋아하는 친구다. 밴쿠버에서 설산의 정수를 가장 잘 보여주는 곳으로 난 시모어 산을 꼽는다. 적설량도 상당하지만 눈 쌓인 형상이 가지각색이라 겨울산의 진수를 보여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운트 시모어 트레일을 타고 브록톤 포인트(Brockton Point)를 지났다. 제1봉(First Pump Peak)을 바로 치고 오를까, 아니면 평상시대로 옆으로 우회해서 돌아갈까 고민하다가 아들에게 코스를 택하라 했다. 녀석은 재고의 여지도 없이 바로 치고 오르자 한다. 꽤 가파른 경사를 등산화 앞꿈치로 눈을 ..

산에 들다 - 밴쿠버 2014. 4. 23. 13:26

[시장 순례 ④] 부산 자갈치시장

술을 좋아하시는 선배를 만나 자갈치시장으로 갔다. 그 선배가 이끄는대로 ‘물레방아’란 허름한 횟집에 앉았다. 영도다리 공사현장을 바라볼 수 있는 바닷가에 자리잡고 있었지만 사람들 발길이 많지 않은 좀 외진 곳이었다. 그런데도 알음알음으로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제법 많았다. 우리는 금방 식당 주인과 술잔을 돌리는 술친구가 되었다. 주방 아주머니도 퇴근하고 손님들마저 모두 끊긴 뒤까지 이야기가 이어지다가 늦게서야 자리에서 일어났다. 호텔 근처 해장국 집에서 2차까지 했다. 산에서 인연을 맺은 이 선배는 백두대간 종주 중에 ‘술에 시간을 맞춰야지, 어찌 사람에게 시간을 맞추느냐’는 불호령으로 나에게 불멸의 명언을 남긴 분이다. 다음 날 산행을 위해 일찍 술자리를 파하게 해야 하는 내 입장 때문에 ‘사람에게 시..

여행을 떠나다 - 한국 2013. 12. 27. 10:00

태백산 시산제

캐나다로 이주한 지 5년이 지난 시점에 고국에서 다녔던 회사로부터 다시 부름을 받았다. 고마운 마음을 안고 바로 고국으로 들어갔다. 새로운 업무에 대한 브리핑을 받는 와중에 회사 산악회에서 준비한 태백산 시산제에 초청을 받았다. 예전에 산악회에서 함께 활동했던 동료들이 많아 낯을 가릴 일도 없었다. 혼자 차를 몰아 집결지인 태백 화방재로 향했다. 백두대간을 종주하며 이미 몇 차례나 지나쳤던 곳이라 눈에 익은 곳이다. 시산제에 참석할 직원들을 싣고 서울에서, 거제도에서 버스 3대가 도착을 했다. 오랜만에 만나는 반가운 얼굴들과 일일이 악수를 하며 인사를 나눴다. 2월의 태백산은 아직 겨울이었다. 날씨는 좀 풀렸다 하지만 화방재엔 운무가 자욱했다. 산행을 시작할 무렵엔 운무가 더 짙어진다. 산길로 접어 들자..

산에 들다 - 한국 2013. 12. 11. 10:17

요호 밸리 백패킹 ①

난 운이 아주 좋은 사람이다. 왜냐 하면 나에겐 산을 무척이나 좋아하는 아들이 있기 때문이다. 아들과 동무가 되어 국내에 있는 많은 산을 올랐을 뿐만 아니라 그 녀석이 초등학교 6학년였을 때는 단둘이서 백두대간 구간 종주도 마쳤다. 이제 청년이 된 아들은 여전히 산에 드는 것을 좋아한다. 캐나다에서도 둘이서 종종 산에 오르기도 했고, 때로는 텐트와 침낭을 짊어지고 야영을 떠나기도 했다. 2009년 여름에도 서로 일정을 맞춰 캐나다 로키로 야영을 떠나자 합의를 보았다. 캐나다 로키는 겨울철이 길고 눈이 많이 쌓여 산행에 좋은 시기는 통상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을 친다. 산행 대상지를 고르고 일정을 짜고 있는데 아들이 조심스럽게 말을 꺼낸다. 고국에 있는 고등학교 친구 두 명이 이번 여름에 캐나다를 오고 ..

산에 들다 - 캐나다 로키 2013. 11. 5. 09:10

에베레스트 베이스 캠프(EBC) – 2

허 대장과 협의해 아침 일정을 조율했다. 앞으로 매일 6시 기상, 6시 30분 아침 식사, 그리고 7시 출발로 정한 것이다. 아침 식사도 모든 사람이 자리에 좌정하고 난 후, 우리가 예전부터 그랬듯이 대장이 “식사 개시”를 외치면 “감사히 먹겠습니다”로 화답하고 숟가락을 들었다. 모처럼 질서정연한 모습에 백두대간 종주 당시의 우리 모습이 주마등처럼 떠올랐다. 첫 출발 신호는 박영석 대장이 울렸다. 모두들 배낭을 짊어지고 선두로 나선 박 대장을 따라 나섰다. 난 사진을 찍으며 걷다 보니 금방 뒤로 처지기 시작한다. 점심 때까지는 후미에서 후배들을 모델삼아 사진을 찍으며 발걸음을 서두르지 않았다. 일행 중에 공식 모델은 윤정원과 이민경, 촬영은 주명진이 맡았다. 하지만 명진이 카메라 못지 않게 커다란 카메라..

산에 들다 - 히말라야 2013. 6. 28. 11:3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우보천리; 소걸음으로 천리를 간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